카테고리 없음

안드로메다 은하, 언젠가 우리와 충돌할 거대한 이웃

려리짱 2025. 8. 16. 09:00

가을밤 하늘을 올려다보면 카시오페이아 근처에서 희미한 타원형 점 하나를 볼 수 있어요. 처음엔 구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이게 안드로메다 은하더라고요. 무려 25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거대한 은하를 맨눈으로 볼 수 있다니, 처음 알았을 때 정말 소름끼쳤어요.

우리보다 두 배나 큰 거대한 이웃

안드로메다 은하가 얼마나 큰지 아세요? 우리 은하수 은하의 지름이 대략 10만 광년인데, 얘는 22만 광년이에요. 거의 두 배 이상 크죠. 별 개수도 1조 개 정도로 우리 은하의 2~3배는 될 거라고 해요.

그런데 진짜 놀라운 건 크기가 아니라 이게 우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거예요! 초속 110킬로미터로 달려오고 있어요. 물론 충돌까지는 45억 년 정도 남았지만... 상상해보세요, 밤하늘에 거대한 은하가 점점 커지면서 다가오는 모습을요.

실제로는 여러 개 은하가 모인 집합체

안드로메다 은하만 혼자 있는 게 아니에요. M32, M110 같은 작은 위성 은하들이 주변에 빙빙 돌고 있어요. 마치 우리 은하 주변에 대마젤란운, 소마젤란운이 있는 것처럼요.

최근에 허블망원경으로 자세히 관찰해보니까 안드로메다 은하도 예전에 다른 은하들을 잡아먹으면서 커진 흔적들이 발견됐어요. 은하들도 약육강식의 세계인가 봐요. 좀 무서우면서도 신기해요.

블랙홀 두 개가 춤추고 있다?

안드로메다 은하 중심에는 우리 은하 중심 블랙홀보다 10배 이상 무거운 초거대 블랙홀이 있어요.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게 하나가 아니라 두 개일 수도 있대요!

두 개의 거대한 블랙홀이 서로 돌면서 언젠가는 충돌할 거라고 하는데... 그때 나올 중력파는 상상도 못 할 정도로 클 것 같아요. 물론 우리한테는 아무 영향 없겠지만, 생각만 해도 스케일이 어마어마하죠.

가을하늘의 숨은 보물찾기

안드로메다 은하 찾는 법 알려드릴게요. 가을밤에 북쪽 하늘을 보면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가 보여요. 거기서 시계방향으로 조금 돌려서 보면 네모난 페가수스 사각형이 있고, 그 옆쪽으로 별 세 개가 일렬로 늘어선 안드로메다자리가 있어요.

안드로메다자리 베타별에서 뮤별, 누별 방향으로 쭉 따라가면 희미한 타원형 구름 같은 게 보여요. 그게 바로 안드로메다 은하예요! 도시에서는 잘 안 보이니까 깜깜한 시골에서 보는 걸 추천해요.

언젠가 일어날 거대한 우주 춤

45억 년 후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가 충돌한다고 했는데, '충돌'이라고 하니까 뭔가 폭발하면서 부딪칠 것 같죠? 실제로는 두 은하가 서로 섞이면서 합쳐져요. 별들 사이 거리가 워낙 멀어서 별끼리 직접 부딪칠 확률은 거의 없대요.

과학자들은 합쳐진 새로운 은하를 '밀코메다(Milkomeda)'라고 부르기로 했어요. 우유를 뜻하는 밀키웨이와 안드로메다를 합친 이름이죠. 센스 있지 않나요? ㅋㅋ

안드로메다가 가르쳐준 우주의 크기

옛날 사람들은 안드로메다 은하를 성운이라고 생각했어요. 우리 은하 안에 있는 가스 구름 정도로 여겼던 거죠. 그런데 1920년대에 에드윈 허블이 이게 우리 은하 밖에 있는 완전히 다른 은하라는 걸 증명했어요.

그때 인류는 처음으로 우주가 얼마나 큰지 깨달았어요. 우리 은하가 우주의 전부가 아니라 수천억 개 은하 중 하나일 뿐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요. 안드로메다 은하 하나 때문에 우주관이 완전히 바뀐 거죠.

미래의 우주여행 목적지?

언젠가 기술이 엄청 발달해서 성간여행이 가능해진다면, 안드로메다 은하도 가볼 수 있을까요? 지금 기술로는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미래에는 어떨지 몰라요.

250만 광년이라는 거리... 빛의 속도로도 250만 년이나 걸리는 거리예요. 하지만 우주에는 웜홀 같은 신비한 현상들도 있다고 하니까, 혹시 모르죠. 상상만 해도 설레네요.

개인적으로는 밤하늘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볼 때마다 우주의 광활함과 신비로움을 느껴요. 저 멀리 있는 은하에도 수많은 별들과 행성들이 있을 텐데, 혹시 우리와 비슷한 생명체들이 살고 있을까요? 그들도 우리 은하수를 바라보며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다음에 맑은 가을밤이 오면 꼭 한번 하늘을 올려다보세요. 그 작은 희미한 점 안에 1조 개의 별이 있다고 생각하면... 정말 경이로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