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13

백조자리, 여름밤 은하수의 백미

여름밤 하늘을 보다 보면 머리 위로 지나가는 흐릿한 띠를 볼 수 있어요. 바로 은하수죠. 그 은하수 한복판을 우아하게 날고 있는 새가 있으니, 바로 백조자리예요. 처음 이 별자리를 제대로 봤을 때 정말 감동이었어요. 진짜 백조가 날개를 펼치고 있는 것처럼 보이더라고요!북십자성이라는 별명도 있어요백조자리의 가장 큰 특징은 십자 모양이에요. 그래서 '북십자성'이라는 별명도 있죠. 남반구의 남십자성과 대응되는 개념이에요. 데네브를 꼬리로 해서 알비레오까지 긴 목을 쭉 뻗고, 양쪽으로 날개를 활짝 편 모습이 정말 아름다워요.십자 모양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백조가 더 어울려요. 특히 은하수 배경과 함께 보면 정말 환상적이거든요. 마치 은하수라는 강을 따라 날고 있는 것 같아요.데네브, 여름철 대삼각형의 한 꼭짓점백..

카테고리 없음 2025.08.21

물병자리, 찾기는 어려워도 이야기는 풍성한

물병자리 하면 뭐가 떠오르세요? 아마 점성술부터 생각나실 텐데, 저는 처음에 이 별자리 찾으려고 얼마나 고생했는지 몰라요. 가을 하늘에 있다고 하길래 찾아봤는데... 별이 다 어둡고 모양도 애매해서 진짜 힘들었어요. 그래도 알고 나면 나름 재밌는 이야기가 많은 별자리예요.물을 쏟는 청년의 모습물병자리는 물병을 들고 물을 쏟고 있는 청년의 모습을 나타내요. 그런데 솔직히 별자리 모양만 보면 물병은커녕 청년도 잘 안 보여요. ㅋㅋ 상상력이 정말 많이 필요한 별자리죠.핵심은 물을 쏟는 물줄기 부분이에요. 물병자리 제타별 근처에서 시작해서 아래쪽으로 지그재그로 이어지는 별들이 물줄기를 표현한다고 해요. 이 부분이 그나마 제일 찾기 쉬운 부분이에요.별들이 다 어두워서 찾기 어려워요물병자리의 가장 큰 문제는 밝은 ..

카테고리 없음 2025.08.19

오리온자리, 겨울밤 하늘의 절대강자

별자리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게 뭐냐고 물어보면 아마 십중팔구 오리온자리라고 할 거예요. 별 모양도 뚜렷하고, 밝은 별들이 많아서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거든요. 저도 어릴 때 처음 배운 별자리가 오리온자리였어요. 겨울밤에 남쪽 하늘 보면 딱 보이는 그 세 개 별 말이에요!허리띠 세 형제가 핵심오리온자리의 트레이드마크는 뭐니뭐니해도 허리띠죠. 일직선으로 늘어선 세 개의 별 - 알니탁, 알닐람, 민타카. 이 이름들 외우려고 옛날에 얼마나 애먹었는지 몰라요. ㅋㅋ이 세 별이 왜 일직선으로 보이는지 아세요? 사실 실제 거리는 다 달라요. 알닐람이 2000광년, 민타카가 900광년, 알니탁이 800광년 정도 떨어져 있어요. 그냥 우리 시선 방향으로만 일직선인 거죠. 진짜 우연의 일치예요.베텔게우스, 언젠가 폭발할..

카테고리 없음 2025.08.18

시리우스, 밤하늘의 다이아몬드

겨울밤 하늘을 보다 보면 유독 밝게 반짝이는 별 하나가 눈에 띄어요. 오리온자리 왼쪽 아래쪽에서 엄청나게 밝게 빛나는 그 별이 바로 시리우스예요. 처음 봤을 때는 비행기인 줄 알았을 정도로 밝더라고요. 알고 보니 이 별이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었어요!개자리의 대표 스타시리우스는 큰개자리의 알파별이에요. 그래서 별명이 '개별(Dog Star)'이기도 하고요. 근데 왜 개자리 별이 이렇게 밝은 걸까요? 일단 우리 태양보다 25배나 밝은 별이거든요. 거기다가 지구에서 8.6광년밖에 떨어져 있어서 더욱 밝게 보여요.8.6광년이면 별 기준으로는 진짜 가까운 거예요. 우리 동네 별이라고 해도 될 정도죠. 그래서 예로부터 전 세계 모든 문명에서 시리우스를 특별하게 여겼나 봐요.사실은 쌍성이었다니!시리우스의 가장 ..

카테고리 없음 2025.08.17

안드로메다 은하, 언젠가 우리와 충돌할 거대한 이웃

가을밤 하늘을 올려다보면 카시오페이아 근처에서 희미한 타원형 점 하나를 볼 수 있어요. 처음엔 구름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이게 안드로메다 은하더라고요. 무려 25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거대한 은하를 맨눈으로 볼 수 있다니, 처음 알았을 때 정말 소름끼쳤어요.우리보다 두 배나 큰 거대한 이웃안드로메다 은하가 얼마나 큰지 아세요? 우리 은하수 은하의 지름이 대략 10만 광년인데, 얘는 22만 광년이에요. 거의 두 배 이상 크죠. 별 개수도 1조 개 정도로 우리 은하의 2~3배는 될 거라고 해요.그런데 진짜 놀라운 건 크기가 아니라 이게 우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거예요! 초속 110킬로미터로 달려오고 있어요. 물론 충돌까지는 45억 년 정도 남았지만... 상상해보세요, 밤하늘에 거대한 은하가 점..

카테고리 없음 2025.08.16

명왕성, 행성에서 쫓겨났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녀석

2006년에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소행성으로 강등당했을 때 진짜 충격이었어요. 어릴 때부터 외워왔던 "수금지화목토천해명"에서 명이 빠진다니! 그런데 2015년에 뉴호라이즌스가 명왕성 사진을 보내왔는데, 보고 나서 생각이 완전 바뀌었어요. 이 녀석, 생각보다 훨씬 재밌는 곳이더라고요.추운 곳인데 의외로 활발해?명왕성이 태양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아세요? 무려 60억 킬로미터예요. 이 정도면 햇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것보다 1600배나 약하게 도착해요. 당연히 얼어붙은 죽음의 세계일 거라고 생각했죠.그런데 웬걸, 뉴호라이즌스 사진을 보니까 표면에 분화구가 거의 없는 매끈한 평원이 있는 거예요! 이게 뭔 뜻이냐면, 비교적 최근까지도 뭔가 표면을 새로 만드는 일이 일어났다는 거죠. 하트 모양으로 생긴 스푸..

카테고리 없음 2025.08.15

해왕성, 정말 멋진 파란색이에요! 수학으로 찾아낸 신비로운 행성

해왕성을 처음 봤을 때 느낌이 어땠는지 아직도 기억나요. 진짜 바다 같은 깊고 푸른 색깔... 왜 해왕성(바다의 왕)이라고 이름 지었는지 딱 알겠더라고요. 근데 이 행성이 발견된 과정이 정말 대단해요. 망원경으로 찾은 게 아니라 수학으로 먼저 계산해서 찾아낸 거거든요!계산으로 찾아낸 첫 번째 행성해왕성 발견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워요. 천왕성이 궤도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걸 보고 "어? 뭔가 이상한데?" 했던 거죠.1843년에 존 쿠치 애덤스라는 영국 수학자가 "아, 천왕성 너머에 다른 행성이 있어서 끌어당기는구나!"라고 계산했어요. 그 다음에 프랑스의 르베리에도 비슷하게 계산했고요.1846년 9월 23일, 독일 천문학자 갈레가 르베리에의 계산을 보고 망원경으로 하늘을 봤는데... 정말 있더라고요! 계산한 ..

카테고리 없음 2025.08.14

천왕성, 완전 별종이네요! 옆으로 굴러가는 얼음 덩어리

천왕성 얘기만 나오면 저는 항상 웃게 돼요. 이름부터가... 좀 그렇잖아요? 영어로는 유라누스(Uranus)인데, 발음이 애매해서 외국에서도 농담거리가 되곤 해요. 하지만 진짜 이 행성은 이름보다 더 특이한 녀석이거든요.옆으로 누워서 도는 게으른 행성?천왕성의 가장 특이한 점은 뭐다? 바로 옆으로 누워서 돈다는 거예요! 다른 행성들은 팽이처럼 서서 돌잖아요? 근데 천왕성은 완전히 옆으로 누워서 굴러가듯이 돌아요.자전축이 98도나 기울어져 있어요. 거의 옆으로 넘어진 수준이죠. 마치 축구공이 굴러가는 것 같달까요? 정말 독특해요.왜 이렇게 됐을까요? 아마 옛날에 지구만한 천체가 천왕성에 충돌해서 넘어뜨린 것 같아요. 상상만 해도 엄청난 충돌이었을 거예요.계절이 42년씩? 말도 안 돼!이렇게 옆으로 누워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8.13

목성, 이 덩치 좀 봐! 태양계 최강 보스의 진짜 실력

목성 얘기만 나오면 일단 크기부터 말하게 되잖아요? 진짜 어마어마하거든요. 지구를 1300개나 넣을 수 있을 정도래요. 상상이 되나요? 나 같으면 머리가 아파서 계산도 못 하겠어요.태양계에서 제일 큰 형님목성은 정말 태양계의 형님이에요. 다른 모든 행성들을 합친 것보다도 2.5배나 더 무겁거든요. 지름만 해도 142,984km... 지구가 12,756km니까 거의 11배예요.만약 목성이 사람이라면... 지구는 구슬 정도? 아니, 그것보다도 작을 거예요. 진짜 압도적인 크기죠.근데 신기한 건 밀도는 생각보다 낮아요. 물보다 조금 더 무거운 정도거든요. 대부분이 가스로 되어있어서 그래요. 만약 목성만큼 큰 바다가 있다면 목성이 둥둥 떠다닐 거예요. 상상만 해도 웃겨요.하루가 10시간? 빨리 돈다!목성은 덩치..

카테고리 없음 2025.08.08

화성, 정말 화성인이 살까? 빨간 행성의 진짜 모습

어릴 때부터 화성 하면 떠오르는 게 뭐였어요? 저는 화성인이었거든요. 초록색 피부에 큰 눈을 가진... 근데 실제 화성을 알고 나니까 완전 다르더라고요. 화성인은 없지만, 화성 자체가 훨씬 더 흥미로운 곳이었어요.왜 빨간색일까? 녹 때문이래요!화성이 빨간 이유가 뭔지 아세요? 바로 녹 때문이에요! 진짜로요. 화성 표면에 산화철, 즉 녹이 엄청 많거든요. 옛날에 화성에 물이 있었을 때 철분이 물과 산소와 만나서 녹슬었던 거예요. 그 녹이 바람에 날려서 온 행성을 뒤덮은 거죠. 마치 거대한 철 덩어리가 수억 년 동안 비를 맞고 있었던 것 같아요.그래서 '붉은 행성(Red Planet)'이라고 부르는 거예요. 멀리서 보면 정말 붉게 보이거든요. 가까이 가서 보면 주황빛에 가깝지만요.크기는 지구의 절반 정도화성..

카테고리 없음 2025.08.07